수익성은 기업의 성장성 및 재무 유동성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수익성은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수익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툴로는 매출 총이익률, 영업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 ROA(총자산이익률) , ROE(자기 자본 이익률) 등이 있습니다.
1. 매출총이익률
매출총이익률은 기업의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금액입니다.
매출총이익률=매출총이익/매출액*100(%)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이 매출 총이익입니다.
2. 매출액영업이익률(영업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영업이익률)은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영업이익률이라고도 합니다. 영업이익은 매출 총이익에서 판매비와 관리비(판관비)를 차감한 이익이므로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입니다.
매출액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100(%)
기업의 본업에서 발생하는 이익이 영업이익입니다. 본업의 수입이 많아야 투자도 하고, 본업 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보전할 수 있기 때문에 영업이익률은 높으면 높을수록 우수합니다.
3.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은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입니다. 매출액순이익률로 기업 활동의 전체적은 능률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차입금 , 이자비용 등의 영업외 비용과 일시적인 손실을 빼고 영업외 수익을 더한 수치입니다. 매출액순이익률=당기순이익/매출액*100(%)
매출액순이익률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재무구조가 비슷한 동업종의 타기업과 매출액순이익률을 비교해 보는 것이 유용합니다.
4. ROA(총자산순이익률)
ROA를 보통 ' 총자산이익률'이라고 부릅니다. ROA는 기업이 전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했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총자산순이익률은 같은 업종에 속해있는 기업들끼리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ROA=당기순이익/평균 자산*100(%)
평균자산=(기초자산+기말자산)/2
총자산순이익률은 당기순이익을 평균 자산으로 나누어서 구합니다. 분모에 오는 평균 자산은 기초 총자산과 기말 총자산의 합을 2로 나누어 구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유업이나 철강업 등 초기 투자비용이 큰 사업군에 속한 기업들은 다른 산업군에 비해 총자산순이익률이 낮게 나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총자산순이익률이 5%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5. ROE(자기자본이익률)
자기 자본 이익률은 자본 대비 이익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자기 자본 대비 이익이 높은 기업입니다. 하지만 기업의 자본구조에서 자본의 크기가 작은 기업일수록 똑같은 당기순이익에도 ROE가 높아집니다.
ROE=당기순이익/평균자본*100(%)
평균자본=(기초자본+기말자본)/2
부채비율이 업종 평균보다 낮고, 10% 이상의 ROE를 기록하고 있다면 비교적 양호한 기업으로 판단합니다.
워렌 버핏은 과거에 자신이 투자기준으로 ROE를 참고한다고 언급하면서, 3년 동안 ROE를 15% 이상 기록한 기업은 투자할 만한 기업으로 간주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